Docker Resource 관리 Docker에서 memory를 최소한으로 조절해서 사용해고보 싶었다. Vmmem(Virtual merchine memory인듯하다.)가 메모리를 2GB 넘게 사용하고 있다. 조정해보자. MacOS MacOS에서 사용시에는 Docker Desktop에서 조정이 가능하다. 간단히 GUI로 CUP코어, 메...
개발을 하게 되면서 터미널을 자주 사용하게 되는데. MacOS, Linux는 oh-my-zsh 사용해서 많이 꾸민다. 단순 미관상뿐 아니라 생산성을 높일 수 있는 인터페이스로 꾸미기도 한다. Windows도 PowerShell이라는 터미널을 사용하는데 비슷하게 꾸며서 사용하고 싶었다. oh-my-posh를 이용해서 꾸며보자 아래는 공식문서를 따라한 ...
Docker 컨테이너의 파일 docker는 컨테이너가 삭제되면 생성하거나 수정한 데이터 파일들도 다 초기화 된다. -> 파일저장소를 외부에 연결해서 사용한다. 공식 문서에는 3가지 방법으로 보여주고 있다. 도식으로 간단히 설명하면 Volumes : docker에서 데이터 유지위한 메커니즘? 저장소를 Docker가 관리 Bind...
기본 개념 정리 컨테이너라는 개념으로 각 프로그램? 서비스등을 프로세스처럼 구동 시키는 것으로 이해하고 있습니다. MySQL이라던가 아니면 LinuxOS등도 마치 프로세스 처럼 돌리는 것~! 정도로… Docker만 설치 된다면 OS에 구속 받지 않고 개발환경을 어디든 구성이 되는 것이 장점. 1. installation https://www.do...
Linux 환경변수 프로그램등 설치하면 어느 디렉토리에서든 사용하려면 전역변수?로 실행하는 경로를 등록해주어야 하는 경우가 있다. Windows, MacOS는 대부분 자동으로 등록해주는 경우가 많아서 LinuxOS 환경에서 설정하는 법을 익혀보자. 환경변수 종류? 1. 로컬 환경 변수 현재 세션에서만 동작하는 환경 변수 결국 터미널을...
A new version of content is available.